한국오리협회, 대한민국 오리산업의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공지사항

  • > 알림마당 >
  • 공지사항

농업기술박람회 개최 안내

글쓴이 : 관리자 조회: 7392 작성일 : 2007-02-09
1. "함께하는 농업기술 박람회" !!! 추진배경 ○ 특화품목을 통한 농가소득 향상에 모티브를 제공하고 있는 특화사업단의 사업성과를 평가하고, 발전방안 논의 ○ 특화품목을 중심으로 생산, 저장, 가공, 유통 등 일련의 기술에 대하여 산·학·연이 한자리에 모여 현장애로기술 해결방안, 품질 향상을 위한 신기술 소개 등 관련 농업기술상담을 통하여 농업인 소득 향상에 이바지 ○ 농업기술의 주요 수요자인 농업인을 중심으로 한 대학, 농촌진흥기관 등과의 인적교류 활성화 일 시 : ’07. 2. 21(수). 10:00~16:00 장 소 :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aT센터 제1전시실 참석대상 : 농업인, 소비자, 농업관련단체 및 기관, 학계 등 주요행사내용 ○ 특화품목 발전전략 심포지엄 (10:00~13:00, 중회의실) - 우수 특화사업단 성과 및 농가 소득 증대 사례 발표 등을 통하여 산·학·연 협력에 의한 지역농업 활성화 사업을 소개 ○ 함께하는 농업기술박람회 (10:00~16:00, 제1전시실 A홀) - 대학, 농촌진흥기관 전문가, 전문농업인 등이 한자리에 모여 생산부터 가공·유통까지 농업인의 궁금증을 풀어줄 수 있는 상담코너 운영 2. "특화품목발전전략 심포지엄 목 적 ○ 특화사업단의 우수 활동성과와 사업대상 농업인의 기술자문수혜를 통한 소득향상 사례 발표 ○ ‘특화사업겸임연구관사업’ 3년간의 사업성과에 대한 종합평가와 향후 발전을 위한 다양한 의견 수렴 일 시 : ’07. 2. 21(수) 10:00~13:00 장 소 :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aT센터 중회의실(3층) 참석대상 ○ 농업관련 부처, 기관 주요인사 ○ 농협, 농업생산자단체, 농업인단체 등 ○ 특화사업겸임연구관, 기술지도 수혜자 등 ○ 도농업기술원 및 지자체 공무원 등 주요내용 ○ 특화사업겸임연구관 사업 성과 발표 - 지역농업 활성화를 위한 특화사업단의 활동사례 - 농업인의 기술수혜 사례 - 특화사업겸임연구관사업 3년 사업성과와 금후추진계획 ○ 특화품목을 중심으로 한 지역농업 발전방안 토론 세부일정 일 정 세 부 내 용 10:00~10:30 ○ 등 록 10:30~10:45 ○ 개 회 식 10:45~12:05 ○ 주제발표 10:45~11:05 ① 충남 인삼 특화사업단의 사업성과와 금후계획 - 최재을 교수(충남대) 11:05~11:25 ② 참다래 수액으로 새로운 시장 개척 - 신강식 대표(고흥남부참다래영농조합법인) 11:25~11:45 ③ 특화사업단과 함께 일군 120억 매출 - 김종필 회장(경기 아이포크영농조합) 11:45~12:05 ④ 특화사업겸임연구관사업 1단계사업추진성과와 2단계추진방향 - 나승용 연구개발국장(농촌진흥청) 12:05~13:00 ○ 지정 및 자유토론 - 이혁근 이사(경기콩연구회) - 서병선 지도관(장수군 농업기술센터) - 송영한 교수(강원대) 13:00 ○ 폐회 3. "함께하는 농업기술 박람회" 목 적 ○ 품목별로 산·학·관의 다양한 전문가가 한자리에 모여 현장애로기술, 새로운 농업기술 등을 소개함으로써 농업기술정보와 인적자원 교류 촉진 ○ 농촌어메니티, 농·축산물의 수확후 저장, 가공, 유통 등 다양한 농업소득원 개발을 위한 동기 부여 일 시 : ’07. 2. 21(수) 10:00~16:00 장 소 :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aT센터 제1전시실 A홀 참석대상 ○ 농업관련 부처, 기관 ○ 특화사업단 참여 겸임연구관, 기술수혜 농업인 등 ○ 품목별 생산자단체 등 농업인 등 ○ 벤처농업인 등 주요내용 ○ 특화품목농업기술상담관, 특별상담관 운영 ▷ 특화품목농업기술상담관 : 26개 코너(35개 특화사업단) - 특화품목의 재배, 가공, 수출전략, 현장애로기술 등 상담 - 관련 기술소개자료 전시 및 배부 - 특화사업단 사업 성과전시 - 특화사업단·농진청 전문가·우수 독농가 참여 ※ 품목별 코너는 기술수요, 특화사업단의 규모에 맞게 증감 < 특화품목농업기술상담관 > ◇ 수도·전·특작 분야 : 인삼, 녹차, 구기자, 오미자, 버섯,기능성쌀, 콩 ◇ 과수 분야 : 사과, 배, 포도, 참다래, 한라봉, 곶감 ◇ 화훼 분야 : 선인장, 백합, 국화, 장미, 란 ◇ 채소 분야 : 착색단고추, 마늘, 딸기, 수박, 오이, 산채 ◇ 축산 분야 : 한우, 양돈 ▷ 특별상담관 : 4개 코너 - 농·축산물 저장·이용 : 수확후 저장, 가공, 성분분석, 전통식품 등에 관한 기술 상담 - 농촌어메니티 : 농촌어메니티 소개, 농촌관광 운영상담 - 벤처농업 : 벤처농업 성공사례 및 창업 상담 ※ 한국벤쳐농업대학 참여 - 기술장터 : 농촌진흥청 발명품 및 우수기술 이전 상담 ※ 우리 농산물 이용 개발 가공상품 특별전시 : 농산물이용연구회 < 특화품목기술상담관 기술상담내용 > 품 목 기 술 상 담 내 용 사과 친환경 고품질 사과 생산기술/재해방지/IPM 사과원 시기별 관리요령/정형과 생산 비율 향상/사과 결실 안정화 유도/감홍 사과 고두병 발생억제/병해충 예찰로 농약사용 횟수 감소/사과 과실 숙기조절 방안 유도/디자인 홍보전략/사과 기능성과 소비촉진 등 포도 새로운 포도 품종 “자랑” 특성/친환경 병해충 방제법/최고품질 포도 생산기술/친환경 포도생산을 위한 초생재배 “들묵새” 재배법/시설포도의 고품질 안정생산/거봉포도의 결실안정대책/포도의 주요생리장애 원인 및 대책/포도의 포장 디자인 개선 포도의 가공이용 방법/새로운 브랜드개발 효과 등 배 배 병해충 방제회수 경감 기술/주요 배 저장장해 원인과 방지 대책/배 생리장해 원인과 대책/배 정형과 생산을 위한 착과기준 및 적과요령/전정 및 유인요령/배과피 각종 오염증상 및 대책/친환경자재의 장단점/신소제를 이용한 신고배 당도증진 기술/친환경적 토양관리기술/개화기 저온피해 대책/친환경에너지워터 시스템개발/배 과원 자동화살포장치 기술개발/생명의 배와 웰빙드링크 및 와인제조기술/배 첨단선과장 및 파머스마켓 전문점 운영 참다래 개원/신품종 식재/기상재해 방지/비가림하우스 설치/인공수분요령/병충해 동정과 방제/궤양병 방제/길항미생물 병방제/참다래 장기저장 요령/비파괴 선과 기술/에틸렌처리 후숙 요령/가공상품화 한라봉 한라봉 고품질 생산을 위한 월별 관리요령/작형별 한라봉 하우스 관리 요령/안정착과 및 결실을 위한 정지 전정기술/한라봉 수확 후 관리요령/한라봉 증당, 감산을 위한 재배.저장관리 기술 등 곶감 곶감용 감 생산기술/ 탄저병의 방제전략/ 감관총채벌레 방제/ 깍지벌레 방지/ 곶감 가공 등 기능성쌀 기능성 유색미(신명흑찰) 품종 해설/ 기능성쌀 재배 기술/기능성쌀 가공현황 및 가공기술/고아미 가공식품개발/가공기계 사용법/기능성 흑미와인 제조 콩 소비자 지향 고품질 콩 생산기술/생산비 절감을 위한 생력기계화 재배기술/콩 병해충 예방 및 방제기술/국산콩 브랜드 개발/새로운 마케팅 및 유통기술 인삼 미생물 농약에 의한 인삼병 방제/미생물제 사용/토양소독에 의한 연작해결/생리활성제에 의한 인삼 수량증대/친환경 인삼의 생산방법/인삼 재배적지 및 예정지 관리요령/인삼재배지 청정토양 만드는 방법/우량품종의 특성 및 재배시 유의사항/뿌리썩음병의 종합적 대응방안/일복가설 소재에 따른 효과 녹차 차나무 친환경 재배방법/수확후 관리요령/친
다음게시물 ▲ 농림부 인사발령사항
이전게시물 ▼ 영국산 가금. 가금육 등 수입금지 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