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 공고 제 농축 2016 – 215호
2016년도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사업 지정공모과제 시행계획 공고 |
「2016년도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사업 지정공모과제 시행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16년 4월 6일
농림축산식품부장관
1 | | 사업 목적 |
□ 농축산물 연계 품목 가공 및 기능성 소재 개발 기술 등 지원을 통하여 농축산업과 식품산업의 동반 성장 도모
- 식품산업 핵심 응용기술 개발 지원으로 식품산업의 국제경쟁력 제고
- 식품산업의 자생적 성장 및 미래형 고부가가치 산업화를 위한 국내 식품 산업 기반 연구 체계 강화
2 | | 공고 개요 |
□ 공고규모 : 35개 연구주제, ’16년도 정부출연금 62.7억 원 이내
* 예산 상황, 평가결과 등에 따라 연구개발과제별 연구비‧연구기간이 조정될 수 있음
□ 공고기간 : '16. 4. 6.(수) ~ 5. 6.(금), 31일간
□ 접수기간 : '16. 4. 22.(금) ~ 5. 6.(금) 18:00 까지
□ 지원대상 : 각 과제별 제안요구서(RFP)상의 과제구성요건에 부합하는 연구팀(반드시 기업이 주관연구기관으로 신청)
3 | | 지원 대상 |
(단위 : 년, 억원 이내)
내역사업 | 연 구 과 제 명 | 예산 | 연구 기간 | 총 출연금 |
(‘16년) | ||||
식품산업 기반기술확보 | 1. 건강한 식문화 확산을 위한 한국형 주방용 스마트 테이블웨어 개발 프로젝트 | 2.4 | 2.6 | 10.4 |
2. 가정 편의대체 식품 신(新)살균공정 개발 및 산업화 (HMR안심프로젝트) | 1.8 | 2.6 | 7.8 | |
3. 식물성 더(고기같은)고기 개발 프로젝트 | 2.1 | 1.6 | 5.1 | |
4. 소비자 맞춤형 식품 3D-프린팅 기술 및 제품개발 | 1.8 | 2.6 | 7.8 | |
5. 저등급·저지방 식육의 부가가치 증진프로젝트 | 1.2 | 2.6 | 5.2 | |
6. 미래형 수분조절·복원 기술 개발을 통한 프리미엄 냉동식개발 | 1.8 | 2.6 | 7.8 | |
7. 식육제품의 비열살균 기술개발 및 산업화 (육제품안심프로젝트) | 1.8 | 2.6 | 7.8 | |
8. 식품공정, 기기 위생을 위한 천연항균 복합조성물 및 활용기기개발 | 1.8 | 2.6 | 7.8 | |
9. 최소 가공 기술을 이용한 유효성분 극대화공정 및 세대 맞춤형 식품개발 | 1.8 | 2.6 | 7.8 | |
9 과제 | 16.5 억 (`16년) | |||
식품소재 연관산업육성 | 10. 특수가공기술을 활용한 농산 자원 가공 제한성 극복 프로젝트 | 1.2 | 2.6 | 5.2 |
11. 아웃도어용 고기능 발열제 및 식품 포장기술 개발 (혁신형 패키지 개발 프로젝트) | 1.8 | 2.6 | 7.8 | |
12. 생물전환기술을 이용한 농산물 다당체 유래 올리고머 산업화 | 1.8 | 2.6 | 7.8 | |
13. 국내 자생 소재를 이용한 시장 지향형 식품 향미 소재 개발 및 산업화 | 1.8 | 2.6 | 7.8 | |
14. 고가의 신선 농식품 택배 배송을 위한 고효율 보냉 용기 개발 | 1.8 | 2.6 | 7.8 | |
15. 곤충자원의 다각적 활용을 위한 전략적 식품소재 개발 및 상품화 | 1.8 | 2.6 | 7.8 | |
16. 물성개선 식품제조를 위한 저가·소형 초고압 기기개발 | 1.8 | 2.6 | 7.8 | |
17. 전 국민 혈관 노화방지 프로젝트 | 1.8 | 2.6 | 7.8 | |
18. 건강나이 –3.4세 프로젝트 | 1.8 | 2.6 | 7.8 | |
19. 액상 식품 충진용 정밀센서개발 및 산업화 | 1.8 | 2.6 | 7.8 | |
20. 가공육에 사용되는 유해발색제, 보존재 대체 소재개발 및 산업화 | 2.1 | 1.6 | 5.1 | |
21. 농·축 부산물을 활용한 산업용 염미소재개발 및 산업화 | 2.1 | 1.6 | 5.1 | |
12 과제 | 21.6 억 (`16년) | |||
미래전략 식품육성 | 22. 고령자용 저작용이, 저작기능 개선 식품개발 | 2.4 | 2.6 | 10.4 |
23. 새로운 특수 의료용도 식품유형군 개발 및 산업화 | 1.8 | 2.6 | 7.8 | |
24.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유산균 정장제 개발 및 산업화 | 1.8 | 2.6 | 7.8 | |
25. 생리전 증후군 완화식품 개발을 통한 여성 삶의 질 개선 프로젝트 | 1.8 | 2.6 | 7.8 | |
26. 어린이용 고영양 식사대용식 개발 및 산업화 | 1.8 | 2.6 | 7.8 | |
27. 임산부·수유부를 위한 영양·미용 증진 프로젝트(모자 건강 증진 프로젝트) | 1.8 | 2.6 | 7.8 | |
6 과제 | 11.4 억 (`16년) | |||
글로벌 K-프로젝트 | 28. 경제성·흡수율이 증진된 뼈 건강 소재 및 제품개발 (국민 뼈건강증진프로젝트) | 1.8 | 2.6 | 7.8 |
29. 신개념 제형개발을 통한 K-소스 상품 시장 확대 (K-소스 특수제형 개발프로젝트) | 1.8 | 2.6 | 7.8 | |
30. 쌀가루 품질 지표 개선을 통한 글로벌 스타 제품 개발 | 1.8 | 2.6 | 7.8 | |
31. 현장 식품 안전을 위한 휴대형 분석기 개발 및 상용화 | 1.8 | 2.6 | 7.8 | |
32. 김치 유통기한 연장을 통한 상품화 기술개발 | 1.4 | 1.6 | 3.4 | |
33. 중동시장 개척용 한식 할랄 조미 소재·제품개발 | 1.4 | 1.6 | 3.4 | |
34. 남미인 기호를 반영한 수출용 K-food 제품개발 및 산업화 | 1.8 | 2.6 | 7.8 | |
35. 전통 식품의 식미개선 통한 스타 디저트 상품개발 (K-디저트개발프로젝트) | 1.4 | 1.6 | 3.4 | |
8 과제 | 13.2억 (`16년) | |||
계 251.7 억 | 총 35 개 과제 ( 35개 팀 선정) | 62.7 억 (`16년) |
* 지정공모과제의 상세 지원내용은 <붙임1>의「제안요구서(RFP)」 참조
4 | | 신청 자격 및 제한 |
□ 연구기관 신청자격
◦ 국·공립연구기관
◦「특정연구기관 육성법」제2조에 따른 연구기관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정부출연연구기관 또는「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 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고등교육법」제2조에 따른 학교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기업부설연구소 중 농림수산식품과학기술 분야의 연구인력을 1명 이상 상시 확보하고 있는 연구소
◦「민법」이나 다른 법률에 따라 설립된 법인인 연구기관
◦ 농림수산식품과학기술분야의 연구인력을 1명 이상 상시 확보하고 있는 기관 및 단체
□ 연구책임자 신청자격
◦ 주관·세부·협동·위탁·공동연구책임자는 각각 해당 주관·협동·위탁·공동연구기관에 재직 중인 자로서 연구경험과 연구능력을 갖추어야 함
* 연구책임자는 연구기간 중 정년퇴임, 임기만료, 장기 해외연수 등으로 인하여 연구수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아야 함
□ 연구자 및 연구기관의 참여제한
◦ 연구책임자(주관·협동·세부)로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국가연구개발과제는 최대 3개, 연구자로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과제는 최대 5개 이내로 제한되므로 이를 초과하여 신청할 수 없음
※ 단, 예외사항은「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제32조제2항 참조
◦ 신청 마감일 전날까지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제한 기간이 끝나지 않은 연구자 및 연구기관은 참여 할 수 없음
◦ 국가연구개발과제에 참여하는 연구책임자 및 연구원의 참여율은 100퍼센트를 초과할 수 없음
- 정부출연연구기관 및 특정연구기관 등 인건비가 100퍼센트 확보되지 않는 기관의 연구책임자 및 연구원의 참여율은 130퍼센트까지 계상 가능(실제 인건비 지급은 100퍼센트를 초과할 수 없음)
- 학생연구원은 참여율 100퍼센트를 기준으로 정규수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과제 참여율을 계상함
5 | | 신청방법 및 절차 |
□ 신청방법
◦ 반드시 주관연구책임자의 아이디로 농림수산식품 R&D 통합정보서비스(FRIS, http://www.fris.go.kr)에 접속하여 온라인 접수(우편, 인편접수 불가)
◦ 신청절차 : FRIS 접속 → 로그인 → 농식품부사업 참여하기 클릭 → 과제접수 → 신청내용 입력 → 신청서류 업로드 → 접수완료 → 접수증 수령
※ 신청마감일 18시까지 신청내용 입력(중간저장 가능), 제출서류 등록 및 접수를 완료하여야 함
□ 제출서류
① 연구개발계획서(붙임 2 서식 참조, 별첨된 서류 포함)
② 연구장비예산심의요청서(붙임 3 서식 참조)
- 3천만 원 이상의 연구시설·장비를 구입하려는 경우에만 제출
③ 상생협력 양해각서 사본(해당 시 제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