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구제역(FMD) 차단 실천사항 |
■ 1주사침 5두 이내 위생적인 접종 : 주사부위가 염증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 ■ 주사침 길이 (1인치 : 자돈용, 1.5인치: 성돈용), 굵기(18G 또는 19G) ■ 백신온도 준수 : 접종 시 백신온도는 20~25℃ * 백신은 냉장보관(동결방지), 상온에서 2~3시간 놔둔 후 적정온도로 접종 |
〈올바른 접종 방법〉
❍ 축사 내․외부, 장비 등에 대해 소독을 실시하고 소독실시기록부를 기록 보관
❍ 구제역 발생국가에 대한 여행을 자제하고, 해외여행 시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입·출국 신고 및 입국 시 공항만 소독, 최소 5일 이상 농장 출입금지
❍ 농장내 출입하는 모든 사람에 대하여 1회용 방역복, 장화 착용 등 개인방역을 철저히 하고 차량․장비 등에 대하여 소독 실시
2 | | AI 차단방역 농가 준수사항 |
◈ 매일 가금을 세심히 관찰하고 의심증상(산란율 저하, 폐사율 증가)이 보이면 즉시 방역당국(☎ 1588-9060, 1588-4060)에 신고 |
□ 농장소독을 매일 1회 이상 실시하고 야생조류 등 출입 차단
❍ 신발을 최소 3켤레 이상을 비치(축사용, 농장용, 외출용)하여 교환 사용
❍ 축사 등 그물망설치 및 야생조류 등 출입 차단
❍ 사료빈 주변에 떨어진 사료는 즉시 제거하여 텃새 및 설치류가 접근하지 않도록 주변을 주기적으로 소독
❍ 쥐 등에 의한 전파가 가능하므로 구서작업을 일제히 실시
❍ 사육시설 주변 및 농장 경계에 정기적인 생석회 도포 실시
<농장소독요령> ☞ 축사내부 : 지붕 → 벽 → 바닥 순을 소독 ☞ 정문 및 축사입구 소독 조 : 차바퀴, 장화가 충분히 잠기도록 함 ☞ 차량소독 : 차량 외부에 묻은 흙등 제거 후 소독, 차량 발판 소독 |
□ 닭 농가와 오리 농가 간 상호 접촉 금지
❍ 가축운반차량(어리장차)은 닭과 오리를 각각 구분하고, 소독 철저
❍ 가급적 타 농장방문이나 모임 등은 자제
❍ 플라스틱 난좌(상자) 대신에 1회용 종이난좌(상자) 활용
□ 일반인 농장 출입 통제
❍ 농장주위에 울타리(방역띠) 설치 등을 통한 일반인, 차량 등 농장 출입 제한
3 | | 기온저하 및 일조시간 단축에 따른 가축관리 |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큰 환절기를 맞이하게 되면 면역능력과 체력이 낮은 어린소, 돼지, 닭 등의 가축들은 환경(온도, 풍속, 습도 등)의 변화에 의한 대사불균형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으므로 질병발생예방을 위한 관리가 필요함(축사 보온, 환기 등) |
❍ 소(젖소)
- 신생송아지는 충분한 초유공급과 기온이 떨어지면 설사 및 호흡기질병 등의 발생이 우려되므로 송아지 우리에 마른 깔짚 깔아주기 등 보온에 주의하고, 외부 찬 공기가 직접 송아지 몸에 닿지 않도록 방풍시설을 점검해야 함
- 온도에만 신경을 쓴 나머지 밀폐에 의한 환기불량으로 호흡기질병 발생 및 생산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환기 개선 필요
- 번식우는 아침, 저녁으로 발정관찰을 실시하여 적기에 수정시켜 번식률 향상에 힘써야 함
- 방목을 하거나 풀 사료를 급여하다가 볏짚이나 담근 먹이 등으로 갑작스럽게 사료를 변경하여 급여하게 되면 설사병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2주일 정도에 걸쳐 서서히 바꾸어 줌
- 소 브루셀라병과 결핵병 및 광견병 예방을 위해서는 야생동물을 차단하고 정기적으로 가성소다 및 페놀 등 소독제를 사용하여 축사 안팎을 소독하고 혈청검사를 받아 감염된 소가 발견되면 즉시 도태
❍ 돼지
- 일교차가 5℃이상이 되면 질병 저항력이 크게 떨어지므로, 자돈의 온도관리 및 밀사를 금지하며, 돈군의 전출입(All-in, All-out)을 계획적으로 실시함. 적정한 온도는 18~20℃임
- 돈사 내 가스발생량과 온도를 고려하여 환기팬 회전속도를 조정
- 온도와 함께 중요한 것이 돼지가 느끼는 체감온도로써 직접 찬바람이 피부에 닿지 않도록 돈사관리에 주의
- 일교차에 의한 모돈 및 자돈의 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충분한 초유의 공급과 무유증 예방관리 및 전해질 공급
❍ 가금
- 외부 기온이 저하됨에 따라 계사 내 환기불량으로 발생될 수 있는 유해가스 발생과 냉기류 유입을 막기 위해 환기량 조절
- 계사 내 환기는 온도가 내려가면서 풍속은 점차 낮추어 주고 크로스 환기나 지붕배기식 등으로 환기형태를 바꾸어 줌
- 열풍기를 미리 점검하여 적정온도 이하로 내려갈 경우에는 열풍기가 가동될 수 있도록 준비
- 호흡기 질병 예방을 위해 평당 사육수수를 최소화 하고 계사 환기량을 조절하여 유해가스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예방
- 계사 내 습도관리를 위해 급수기의 위치나 급수량 및 급수기의 누수상태를 사전에 점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