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오리협회, 대한민국 오리산업의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공지사항

  • > 알림마당 >
  • 공지사항

주간농사정보(제47호,2016.11.20~11.26.)제공

글쓴이 : 한국오리협회 조회: 4215 작성일 : 2016-11-22



주간농사정보(제47호,2016.11.20 ~ 11.26.)제공.hwp

제8장 축 산

 

 

구제역·AI 특별방역기간 운영(‘16.10.1~’17.5.31)

- 자발적 방역(소독, 백신접종, 차단방역)으로 구제역․AI를 차단합시다

▣ 야생조류 H5N6 고병원성 AI 바이러스 발생현황 및 특성 

 

<발생 개요>

 

 

 

❍ 검출지역 : 충남 천안시 풍세면 남관리, 봉강천(철새도래지)

* 야생조류 분변검사에서 고병원성 AI(H5N6) 검출(11.11)/시료채취 10.28

* 검출지점 농가현황 : 500m 이내 4호 95천수/ 500m∼3㎞ 36호 828천수 / 3㎞∼10㎞ 146호 3,126천수(KAHIS 기준)

 



❍ 가금류에서의 발생현황(OIE 공식보고 기준)

- H5N6형 고병원성 AI(HPAI)는 2014년 4월 이후 최근까지 중국, 베트남, 라오스 및 홍콩 등지에서 유행하고 있음

❍ 인체감염사례(WHO 공식보고 기준)

- H5N6형에 의한 인체감염 사례는 2014년 4월 이후 ‘16년까지 총 15명이 감염되어 6명이 사망하였으며, 중국에서만 발생

❍ H5N6형 바이러스 특성

- H5N6형 고병원성 AI 바이러스는 clade 2.3.4.4에 속하는 바이러스로 HA 유전자 분절부위 염기서열이 LRERRRKR/GLF로 고병원성 특성

* H5N8형 바이러스와 같은 Clade 2.3.4.4.에 속하나, H5N8형은 아형이 A, B형으로 분류된 반면, H5N6형 바이러스는 C, D형으로 분류됨 (Emerg Infect Dis, 2016, vol.22, p1283 논문 기준)

- 현재까지 분석된 H5 및 N6 유전자는 ‘16년 초 홍콩 야생조류(대백로)에서 분리된 바이러스와 99% 이상 상동성을 보이며 가장 유사

1

 

AI 차단방역 농가 준수사항


매일 가금을 세심히 관찰하고 의심증상(산란율 저하, 폐사율 증가)이 보이면 즉시 방역당국(☎ 1588-9060, 1588-4060)에 신고

□ 철새도래지 방문자제

* 충남 발생 지역 가금사육농장 축산관련 모임 및 행사 자제 협조

□ 농장소독을 매일 1회 이상 실시하고 야생조류 등 출입 차단

발을 최소 3켤레 이상을 비치(축사용, 농장용, 외출용)하여 교환 사용

축사 등 그물망설치 및 야생조류 등 출입 차단

* 방사형 가금사육농가(동물복지인증농장 포함)에 대해 닭, 오리 등 방사 사육 및 잔반 급여 금지

사료빈 주변에 떨어진 사료는 즉시 제거하여 텃새 및 설치류가 접근하지 않도록 주변을 주기적으로 소독

쥐 등에 의한 전파가 가능하므로 구서작업을 일제히 실시

❍ 사육시설 주변 및 농장 경계에 정기적인 생석회 도포 실시

<농장소독요령>

☞ 축사내부 : 지붕 → 벽 → 바닥 순을 소독

☞ 정문 및 축사입구 소독 조 : 차바퀴, 장화가 충분히 잠기도록 함

☞ 차량소독 : 차량 외부에 묻은 흙등 제거 후 소독, 차량 발판 소독

□ 닭 농가와 오리 농가 간 상호 접촉 금지

축운반차량(어리장차)은 닭과 오리를 각각 구분하고, 소독 철저

가급적 타 농장방문이나 모임 등은 자제

플라스틱 난좌(상자) 대신에 1회용 종이난좌(상자) 활용 


□ 일반인 농장 출입 통제

농장주위에 울타리(방역띠) 설치 등을 통한 일반인, 차량 등 농장 출입 제한 



2

 

겨울철 가축관리

 

❍ 가금

- 겨울철에도 최저 환기를 통해 계사 내의 오염된 공기는 밖으로 배출해주고 신선한 공기를 넣어줘야 함

- 샛바람을 최소화하면서 바깥에서 유입되는 찬 공기와 내부의 따뜻한 공기가 섞여 계사 내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환기팬을 가동

- 용량이 작은 열풍기를 이용해 넓은 면적을 가온할 경우 열풍기 과열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화재예방에도 주의

- 호흡기 질병 예방을 위해 평당 사육수수를 최소화 하고 계사 환기량을 조절하여 유해가스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예방

 

 

다음게시물 ▲ 조류인플루엔자 긴급행동지침(AI SOP) - 16년 7월 개정
이전게시물 ▼ [농식품부 11.18] 가축 등에 대한 일시 이동중지 명령 공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