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대수 의원, 「오리사육 휴지기제 대책마련 전문가 좌담회」개최
<!--[if !supportEmptyParas]--> <!--[endif]-->
위기의 오리 산업을 위한 실질적 대책마련 계기 될 것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 경대수 국회의원(증평·진천·음성, 자유한국당)은 오는 14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3간담회실에서 ‘오리농가 휴지기제, 대책이 필요하다’를 주제로 전문가 좌담회를 개최한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 이번 좌담회는 AI 예방적 목적으로 실시된 오리농가 사육제한(휴지기제) 실시 이후 수급 불안에 따른 오리 가격 등락 등 직접적 피해를 겪고 있는 오리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고 휴지기제의 장기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을 논의하는 자리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 평창 동계올림픽 대비 시범적으로 실시했던 오리 사육 휴지지기제로 지자체별 자체 사업 포함 총 260여 농가, 4개월여간 총 700여 만마리의 오리사육이 휴지기에 들어갔다. 이는 전체농가의 40%에 해당하는 수치로 오리 관련 산업 피해액은 약 675억원으로 추정된다. 오리 사육농가는 물론 사료산업 등의 전후방 산업 피해규모는 더욱 클 수밖에 없으나 직접적으로 큰 피해가 발생하는 계열업체 등에 대한 피해보상은 전무한 상황이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 최근 복절기 특수와 폭염으로 인한 오리 폐사가 겹치면서 오리 가격은 가파르게 상승, 6월에서 7월까지 한달 사이 40%이상 상승하면서 물가에 영향을 미친 것을 고려할 때 오리농가 휴지기제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if !supportEmptyParas]-->
<!--[if !supportEmptyParas]--> <!--[endif]-->
○ 또한 휴지기제를 11월부터 2월까지 4개월간 실시하더라도 오리 사육기간을 감안하면 3월 중순부터 생산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가축전염병 예방법 시행규칙의 개정으로 오리농가 출하 후 휴지기간 14일을 준수해 재입식을 해야하는 상황에서 연간 약 2,000만마리의 육용오리 생산이 추가적으로 감소 예상되고 있어 농가의 소득감소와 추후 오리수급에 문제가 생길 것으로 우려를 낳고 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 오리농가 사육휴지기제의 문제점들이 계속 지적되고 있고 나아가 오리산업의 존폐 위기까지 대두되고 있는바 보다 현실적인 제도 마련이 시급하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 이번 토론회는 농림축산식품부, 축산관련단체협의회, 한국오리협회, 국내최대 오리가공업체를 비롯한 학계와 오리농가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한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 경대수 의원은 “오리농가 사육 휴지기제의 문제점에 대해 고민하고 이에 맞는 제도 개선과 재검토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라며 “이번 토론회가 오리농가와 오리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한 계기가 되길 바라며 논의된 내용이 제도화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