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10일 제주도 구좌읍 하도리 야생조류 분변에서 최근 야생조류에서 검출된 것과 동일한 고병원성 H5N6형 AI가 최종 확진되었으며, 유전자 분석을 통해 바이러스 검출 분변의 조류종은 13일경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ㅇ 이번 H5N6형 확진은 금번 동절기 야생조류 분변 예찰 중 제주지역에서 채집된 시료 중 최초 확인된 사례로, 지난 ‘16.11~12월간 채집한 분변시료 400여점에서는 AI가 검출되지 않았다.
ㅇ 아울러, ’17.1.10일 현재까지 제주도에서 의뢰한 폐사체 11건* 중 8건은 AI 음성으로 검사 완료되었으며, 나머지 3건은 분석중이다. * 가마우지, 원앙, 갈매기, 물닭, 까치, 꿩, 흰뺨검둥오리, 왜가리 등
□ 제주도에는 해안가, 저수지, 하천 하구를 중심으로 오리류, 백로류, 논병아리류, 가마우지류, 갈매기류, 물닭류 등의 물새류가 동절기에 주로 도래하는데,
ㅇ 국립생물자원관의 2016년 12월 겨울철새 동시 센서스 결과에 따르면 제주도 지역 6개 철새도래지에 총 82종 2만5천여마리의 야생조류가 서식하고 있으며,
ㅇ 이번 AI가 확진된 하도리에는 물닭, 흰빰검둥오리, 청둥오리, 알락오리, 홍머리오리 등이 2,470마리가 서식중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 참고로, 제주도 야생조류에서 AI가 검출된 사례가 이번이 처음은 아니며,
ㅇ ‘14.5월 알락오리 분변, ’15.1월 흰뺨검둥오리, 알락오리, 홍머리오리 폐사체와 야생조류 분변에서 고병원성 H5N8형 AI가 총 5건이 검출된 바 있다.
□ 국립환경과학원은 분석중인 시료의 결과가 나오는 즉시 관계기관으로 통보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서귀포시 성산읍 등 제주도 내 다른 철새도래지에 대해서도 조사를 강화할 계획으로
ㅇ AI의 확산을 막기 위해 청둥오리 등 오리류가 무리를 지어 분포하는 해안가의 내만, 저수지, 하천 하구 등에 출입을 자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 □ 농식품부는 지난 1.9일 환경부로부터 제주도 야생철새 분변에서 H5N6형 AI 검출 결과를 확인한 시점부터 제주도가 다음과 같은 방역조치를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ㅇ 야생철새 관련 시료를 채취한 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10Km이내 지역을 방역대로 설정하고,
ㅇ 해당 지역 내에 있는 가금류 농가에 대해서 이동제한, 예찰 강화 등 방역조치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