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림수산식품부가 오리고기 원산지표시제를 1년 미루겠다고 발표하자 축산단체들이 반대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축산관련단체협의회는 지난 1일 ‘오리고기 원산지표시제! 늦출 이유도, 여유도 없다!’는 제목의 성명서를 발표하고 민심을 무시한 농식품부의 처사를 강력히 비판했다. 성명서에서 축단협측은 중국의 AI 발생으로 1990년대 국내 오리시장의 20~30%를 차지하던 중국 오리고기가 2000년대에는 크게 줄었으나 몇 달 전부터 국내 오리고기 수급이 원활치 못해 급격히 늘어난 수요를 공급이 감당치 못하는 상황이 심화되고 있어 중국산 저급 오리가 국내산으로 둔갑 판매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설문조사 결과를 들어 소비자의 61%가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 확대 품목으로 오리고기를 선정한 바 있으며 오리고기의 판매가 음식점에 대부분 의존하고 있는 이상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를 시행하지 않고 있는 것을 납득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때문에 오리고기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를 차일피일 미룰 이유나 여유가 없으며 정부의 참된 권위는 농민의 목소리를 무시할 때가 아니라 그 목소리의 핵심을 겸허하게 받아들 일 때 바로서는 것이라고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강현 오리협회 전무는 “오리고기 원산지 표시제 시행은 지금이 가장 적기로 앞으로 FTA 등으로 수입 오리고기가 밀려올 때를 대비해 국산과 수입산의 구분을 명확히 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며 “오리고기 수입을 금지하라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의 알권리를 충족시켜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줄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고 강조했다.
안희경 기자(nirvana@aflnews.co.kr)
|